+더페스티벌 즐겨찾기 추가
  • 2025.04.05 (토)
 축제뉴스 축제뉴스전체
2012 문화예술인 소득실태조사 발표
김대원 기자    2013-02-14 13:46 죄회수  6735 추천수 2 덧글수 3 English Translation Simplified Chinese Translation Japanese Translation French Translation Russian Translation 인쇄  저장  주소복사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박광무)은 우리나라 문화예술인들의 활동여건과 활동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2012 문화예술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동 조사는 1988년부터 3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번이 9번째 조사이다.

 

이번 조사는 문학, 미술, 건축, 사진, 음악, 국악, 무용, 연극, 영화, 대중예술 등 10개 분야별로 각 200명씩 총 2,000명의 문화예술인들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와 이메일․팩스 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건강보험’ 97.8%, ‘국민연금’ 66.7%, ‘산재보험’ 27.9%, ‘고용보험’ 30.5% 가입

조사 결과에 따르면, 4대 보험 중 ‘건강보험(의료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에 가입한 응답자 비율은 각각 97.8%, 66.7%, 27.9%, 30.5%로,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에 대한 가입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09년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표 1> 4대 보험 가입 비율

구 분

건강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

2009년

98.4%

59.2%

29.5%

28.4%

2012년

97.8%

66.7%

27.9%

30.5%

 

문화예술인의 66.5%가 ‘창작활동 관련’ 월평균 수입 100만 원 이하

※ 1인/4인 가족 기준 최저생계비 : 57.2만 원/154.6만 원

 

문화예술인 개인의 창작활동 관련 월평균 수입액은 ‘없다’(26.2%), ‘101~200만 원(17%), ‘201만 원 이상’(16.7%), ‘51~100만 원’(15.1%), ‘21~50만 원’(12.9%), ‘20만 원 이하’(12.3%), ‘무응답’(0.1%) 순이었으며, 문화예술인의 66.5%가 창작활동 관련 월평균 수입이 100만 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문화예술인 개인의 월평균 수입

없다

20만 원

이하

21~50

만 원

51~100

만 원

101~200

만 원

201만 원

이상

무응답

2009년

37.4%

7.8%

6.9%

10.8%

13.8%

20.2%

3.4%

2012년

26.2%

12.3%

12.9%

15.1%

17.0%

16.7%

0.1%

 

분야별로 살펴보면 문학(91.5%), 미술(79%), 사진(79%), 연극(74%), 영화(71%), 국악(67%), 무용(64%), 음악(60%), 대중예술(43.5%), 건축(34%)의 순으로 100만 원 이하의 비율이 높았다.

 

<표 3> 분야별 100만 원 이하 문화예술인 비율

문학

미술

사진

건축

국악

음악

연극

무용

영화

대중예술

2009년

89%

76.5%

97.5%

22.5%

75.5%

49.5%

72.5%

38%

72%

33.5%

2012년

91.5%

79%

79%

34%

67%

60%

74%

64%

71%

43.5%

 

 

지원금 수혜비율은 늘었으나 창작활동 여건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져

 

문화예술인들의 문화예술 활동과 관련한 창작지원금 수혜비율은 ‘공공영역(정부, 문화예술위원회, 기타 공공기관)’ 27.7%, ‘민간영역(기업, 개인후원자)’ 8.1%, ‘전체’ 31.9%로 ‘09년의 15.5% 대비 증가하였다.

 

※ 중복 응답 있음

 

반면, 문화예술인들은 창작활동 여건 중 ‘문화예술활동의 경제적 보상’(91.7%), ‘문화예술인 및 문화예술활동 지원’(84.7%), ‘창작발표 기회’(67.2%), ‘사회적 평가’(46.6%), ‘외부의 창작활동규제’(31.7%) 등의 순서로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만족하는 경우보다 많았으며 ‘09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다소 늘었다.

 

또한,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문화예술인(단체)이 해야 할 일로 ‘정실주의‧부패청산’(31.6%), ‘예술교육 수준 향상’(14.1%), ‘과시적 일회성 행사 자제’(12.9%), ‘불합리한 유통구조 개선’(11.6%) 등을 꼽았다.

 

모집단 개선, 표본 크기 확대, 조사 주기 단축(3년→2년) 등의 개선방안 마련 예정

 

문화체육관광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인의 창작활동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지원금 및 매개공간 지원, 창작팩토리 지원 사업 확대 등을 통해 문화예술인의 창작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문화예술인의 재교육과 직업훈련을 지원하고 4대 보험 보장을 확대하는 등 복지 증진을 위해서도 노력할 예정이다.

 

<참고> 2012 문화예술인실태조사 개요 및 주요 결과 요약:

//www.thefestival.co.kr/marketing/data/262/?curpage=1

 

태그  문화예술인복지,창작팩토리,연극인,예술인생활고
 이전기사      다음기사   메일       인쇄       스크랩
  목록으로 수정    삭제
덧글쓰기 댓글공유 URL : http://bit.ly/34x2Qm 
라페스타   2013-02-15 11:00 수정삭제답글  신고
문화예술이 국격을 상승시키고 문화예술이 나라를 먹여 살릴텐데.. 쯧쯧..
아리가토   2013-02-14 17:44 수정삭제답글  신고
연극인 국악인 음악인 무용가 사진가 다들 문화관광사업 발전에 기여하는 분들인데.. 살기가 힘들다니.. 쩝~
축제포토 더보기
인터뷰  
독립예술축제에 삶을 바치는 서울...
축제는축제기획자의시도에따라자연스레...
인기뉴스 더보기
여의도 봄꽃행사 탄핵선고 일정 피...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 국내출발...
전남도 4월 꽃구경 여수하화도 완...
축제리뷰 더보기
천안 원성천 벚꽃축제 2024년과 ...
강릉 선교장 사대부 저택은 어떨까
꽁꽁 언 임진강 위의 파주임진각...
묵호역사거리 연필뮤지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