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옥정은 경주김씨 돈옹공 김계영을 기리기 위해 후손인 김종한이 1820년 3월에 완공한 정자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0호로 지정되었다. 김계영은 숙종때 성균관에 들어갔으나 정치판이 혼탁해짐을 한탄하여 높은 벼슬도 마다하고 이 곳에 내려와 시화를 즐기며 생을 보냈다. 그는 더러운 것을 들었다는 귀를 씻어 낸다는 의미로 분옥정 상류 바위에 세이탄(洗耳灘)이라고 새겨 넣기도 했다. 
정자의 뒤로 들어가는 문이 있고 계곡 흐르는 물가 옆으로 들어가는 좁은 문도 있다. 구조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정(丁)자형 평면 목조 기와집으로 되어있는데 이 지방에서 보기 드문 구조라고 한다.


옥 가루를 품어낸다는 계류의 모습을 따 분옥정이라고 지었고, 화수정 용계정사 청류헌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추사 김정희의 필체라서 유명하기도 하다.

▲ 청류헌(聽流軒) 천지제(天止齊)



주변의 말미평 저수지에 오래된 보호수와 함께하는 봉계수변공원의 정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