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4TH ICHEON RICE CULTURAL FESTIVAL
풍년마당, 문화마당, 동화마당, 햅쌀거리, 놀이마당, 기원마당, 농경마당, 쌀밥카페, 주막거리, 햅쌀장터로 축제장을 구성하여 곳곳에서 무지개가래떡만들기, 거북놀이, 가마솥이천명이천원 등 이천쌀문화축제에서만 만끽하게 될 갖가지 행사가 축제기간 동안 알이 꽉 찬 벼처럼 풍성하게 열릴 예정이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284.jpg)
임금에게 진상하던 이천쌀의 위상을 알리는 ‘임금님 진상행렬’이 이천 시내부터 행사장까지 장대하게 이어지며 축제의 개막을 알릴 예정이다. 진상행렬이 끝나면 한 해의 풍년과 넉넉한 추수를 있게 해준 자연과 농민에 감사를 표하는 추수감사제가 열려 전통농경문화를 생생하게 재현해 낸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325.jpg)
축제 성공을 기원하는 퍼포먼스로 진행되는 ‘무지개가래떡만들기’는 축제 개막일에만 볼 수 있는 이벤트이다. 약 600m 길이의 무지개가래떡을 뽑아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들과 함께 떡을 뽑고 나눠 먹어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을 즐겁게 할 예정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종전의 기록을 깨길 기원한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347.jpg)
축제 기간 내내 진행되는 ‘이천쌀밥명인전’은 화덕 위에 장작불을 때며 가마솥에 밥을 짓던 옛 어머니의 손길을 회상하게 만든다. 자타공인 쌀밥의 달인 주부가 매일 4회의 경쟁을 통해 일일명장을 선발한다. 마지막 날 최고의 명인으로 선발된 우승자에게 ‘명인패’를 수여한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391.jpg)
성인 5~6명은 거뜬히 들어가는 대형가마솥에 밥을 지어 관람객과 함께 이천쌀밥을 나눠먹는 ‘가마솥이천명이천원’은 축제기간 동안 관람객과 함께 먹는 나눔의 기쁨을 선사한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422.jpg)
세계쌀요리경연대회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온 다문화가정 가족이 참여하여 이천쌀을 이용한 각 나라의 전통음식을 만들어 선보인다. 쌀이라는 공통된 식자재로 아시아의 식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445.jpg)
이 밖에도 이천 남부지역에서 풍년을 기원하던 전통놀이 ‘거북놀이’ 재현 및 거북이만들기, 용줄다리기 대회, 온 가족 웃음이 넘치는 농경문화놀이체험, 전통방식의 풍년 기원제와 굿놀이, 다채로운 마당극, 비보이 힙합댄스, 가족인형극 등 풍성한 공연이 준비되어 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525.jpg)
주막거리에는 먹을 거리가 풍성하고 햅쌀장터와 난전에서는 임금님표 이천쌀을 비롯한 이천시 농특산물을 싯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좋은 기회가 된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574.jpg)
이밖에 다양한 주제의 마당극과 퍼포먼스, 상설공연, 놀이체험 등이 축제의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풍성하게 만든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738.jpg)
축제가 아니더라도 전국에 농경문화 체험이 가능한 농촌체험마을이 많다. 축제가 열리는 이천에는 축제장 가까이 있는 자채방아마을과 부래미마을에서 모내기나 벼베기와 같은 농사체험과 쌀밥짓기 등을 체험할 수 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1/12/yunkch_132435565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