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임금 단종의 유배지 청령포
국가명승 제50호, 寧越 淸泠浦는 어린 나이에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의 유배지다.
이 곳을 지날 적마다 역사를 아는 사람은 눈물이 나게 마련이다. 동쪽에서 남으로 그리고 서쪽으로 흐르는 서강이 물줄기를 휘감아 내고 서쪽으로 높은 암벽(육육봉, 六六峰)이 있어 배를 타지 않고는 왕래를 할 수 없는 곳이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5845.jpg)
![](/upfile/img/2021/02/jssuh_1614343918.jpg)
![](/upfile/img/2021/02/jssuh_1614343776.jpg)
청령포에 홍수가 나서 노산군이 관풍헌으로 거처를 옮겼을 때 저녁만 되면 누각에 올라 자규시(子規詩)를 읊었는데... 나는 신축년 정월 초열흘에 여기 영월군 남면 광천리, 배를 타고 서강을 건너 가는 1분 동안 자규시를 읊어 본다.
一自寃禽出帝宮 한 마리 원한 맺힌 새가 궁중을 떠난 뒤로
孤身隻影碧山中 외로운 몸 짝 없는 그림자가 푸른 산속을 헤맨다
假面夜夜眠無假 밤이 가고 밤이 와도 잠을 못 이루고
窮恨年年恨不窮 해가 가고 해가 와도 한은 끝이 없구나
聲斷曉岑殘月白 두견 소리 끊어진 새벽 멧부리에 지새는 달빛만 희고
血流春谷落花紅 피를 뿌린 듯한 봄 골짜기에 지는 꽃만 붉구나
天聾尙未聞哀訴 하늘은 귀머거린가? 애달픈 하소연 어이 듣지 못하는지
何奈愁人耳獨聽 어찌하여 슬픔 많은 이 사람의 귀만 홀로 밝은고?
![](/upfile/img/2021/02/jssuh_1614327075.jpg)
배에서 내려 땅에 발을 딛자마자 황량함과 함께 슬픔이 몰려 온다.
왜 삼촌은 어린 조카를 궁에서 내쫓아 이런 곳에 보냈을까? 여러 생각이 든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7093.jpg)
청령포숲은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우수상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모든 소나무에 일련번호가 붙어 있어 꼼꼼하게 관리가 되고 있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7132.jpg)
단종어소(端宗御所)는 승정원일기의 기록에 따라 기와집으로 복원하였다.
![](/upfile/img/2021/03/admin_1617098910.jpg)
어소에는 당시 단종이 머물던 본채와, 궁녀 및 관노들이 기거하던 행랑채가 있는데, 그 안에 밀납인형으로 당시의 모습을 만들어 놓았다. 어소의 담장 안에 단종유지비각(端宗遺址碑閣)이 자리 잡고 있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7151.jpg)
![](/upfile/img/2021/02/jssuh_1614327166.jpg)
단종이 입던 옷이 걸려 있네? 잠자던 이불이 왕실의 침구는 아닌 것 같고.. 책을 봤을 테니 등불은 있었겠지? 이런 저런 상상을 해 보게 된다. 아침마다 무엇을 입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먹을까, 고민도 안했으리라.
![](/upfile/img/2021/02/jssuh_1614328213.jpg)
![](/upfile/img/2021/02/thefestival_1614399393.png)
![](/upfile/img/2021/02/jssuh_1614328844.jpg)
두갈래로 갈라져 600년을 살아 온 소나무가 단종 유배 時의 설화를 간직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단종이 유배생활을 할 때 이 소나무에 걸터앉아 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 온다. 소나무가 단종의 슬픈 모습을 보았다 하여 볼 관(觀)자, 때로는 오열하는 소리를 들었다 하여 소리 음(音)자를 써서 관음송(觀音松)이라 불리어 왔다고 한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9448.jpg)
여기는 코로나19가 잠시 막아 놓은 상태라서 올라가 볼 수가 없다.
대신 옆으로 가서 올라 보기로 한다. 전망대가 보이고 쌩쌩 지나가는 차들도 보인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9570.jpg)
망향탑(望鄕塔)은 청령포 서쪽 절벽인 육육봉(六六峰)과 魯山臺) 사이에 있는 돌탑으로 어린 단종이 이 곳에 올라 한양(漢陽 서울) 땅을 그리며 돌을 쌓아 올린 것이다. 당시의 애절했던 단종의 마음을 헤아려 볼 수 있는 장면이다.
단종대왕이 유배생활을 할 때 자신의 앞날을 예측할 수 없는 근심 속에서도 한양에 두고 온 왕비 송씨(정순왕후)를 생각하며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막돌을 주워 쌓아 올렸다는 탑으로 단종이 남긴 유일한 유적이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9873.jpg)
혈육보다 무서운 정치권력의 매정함을 느끼며, 작은 봉우리를 내려왔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순서대로 중시하는 인간 사회가, 언제쯤에나 문화, 사회, 경제, 정치의 순으로 우선시하며 살아갈 수 있을까를 생각하며..
나는 청령포(淸泠浦)에서 표표(漂漂)히 그리고 표표(飄飄)히 사라졌다.
![](/upfile/img/2021/02/jssuh_161432989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