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5996.jpg)
오산시 궐리사는 경기도 기념물 제147호의 귀한 문화재
궐리사는 무얼까? 절 이름이 아니다. 궐리사(闕里祠)는 공자의 영정을 모시는 사당이다.
그 옛날 노나라 공자님이 살던 <궐리>라는 마을 이름을 땄다. 우리나라 2대 궐리사는 충남 논산의 노성궐리사와 오산시의 화성궐리사이다.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4608.jpg)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4619.jpg)
문화재청이 후원하는 2020년 향교서원문화재활용사업의 일부로, 경기도 오산의 궐리사에서 <행단에 열린꿈 궐동학교>라는 사업명으로 행사가 펼쳐진다.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5289.jpg)
오늘은 행단별시(杏亶別試)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날.. 가족단위의 참가객들이 유교의 학습공간에서 흥미있는 현대식 교육이 있는 날, 시민들이 문화향유의 혜택을 받는 날이다.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5319.jpg)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5338.jpg)
무예24시범단의 무예시범을 보고 동작을 하나하나 배워보는 강습의 시간이 있다.
그리고 팀별로 연습을 거쳐 무예대회에 도전한다. 행단별시가 오늘은 문과별시가 아니라 무과별시이기에..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5349.jpg)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5367.jpg)
참도리와 행단이 캐릭터도 있다. 무과별시의 상품도 두둑하다.
장원급제하고 싶어 열심히 무술을 연마한다. 애들이 재미있어 하니 참 보기가 좋다.
행단별시의 에듀테인먼트 요소가 돋보인다. 문과별시인 백일장보다 무과별시의 동적인 기량 뽐내기가 더 즐거운 것 같다.
![](https://www.thefestival.co.kr/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5870.jpg)
![](/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6198.jpg)
하늘꿈뮤지컬프렌즈의 궐리사에 울려 퍼지는 한토막 노랫소리가 마음을 풍요롭게 한다. 도심 한 낮에 이런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다는 게 어디인가? 다들 문화동행 홈페이지에 다음번 행사 참가신청을 해야겠다고 한다. 거리두기 체험프로그램도 있다. 체험꾸러미라는 체험 키트(Kit)를 신청해 받고 집에서 각자 요즘 유행하는 온라인체험을 즐긴다는 것이다.
![](/upfile/img/2020/08/thefestival_1596646264.jpg)
핑크빛 옷 색깔이 맘에 든다.
돈을 받아도 몰릴텐데 아직은 무료이다.
코로나19라는 악재를 만나 정상적인 운영은 아닌 것 같다.
오산시 화성궐리사 활용 프로그램이 계속 발전해 가서 서울에서도 많이들 찾아 오시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