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544.jpg)
고양송포호미걸이보존회가 십이지신 불한당 몰이놀이 정기발표회를 합니다.
2019년 11월 9일 토요일 12시 / 일산문화광장
5020 가와지쌀을 지켜라!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2호인 고양송포 호미걸이를 봅니다.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582.jpg)
길놀이로 시작합니다. 풍악을 울리며 대감내외가 들어오고 십이지신탈을 쓴 마을사람들이 등장합니다. 머리에 들밥을 내는 아낙들이 뒤따라 옵니다.
이제 대갓집 안으로 가을걷이 고사를 지냅니다. 일년농사 풍년에 감사하여 추수 후에 고사를 지내고 고사덕담을 합니다.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612.jpg)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673.jpg)
갑자기 불한당 방표가 붙습니다. 불한당들이 마을 사람 몰래 대갓집 벽에 곡식과 재물을 가져오라고 방표를 붙이는데 마을 장정들이 불한당을 물리치기로 결심하고 무술훈련을 받기 시작합니다.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646.jpg)
고양시 태권도 시범단이 공연을 해 줍니다. 무술 지도를 받는 연기를 하는 겁니다.
이 때 불한당이 출몰합니다. 마을 장정들과 불한당이 한판 대결을 벌이고 십이지신 불한당몰이가 시작됩니다. 결국 마을 장정들이 이기는 기쁨을 보게 됩니다.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705.jpg)
이를 축하하기 위해 풍물놀이패와 함께 흥겹게 소리를 하며 마을 잔치를 벌이는 겁니다.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750.jpg)
고양가와지12채농악앉은반이 공연됩니다. 타악단 <쾌>의 김보성 단장이 대북을 연주하고, 조경희 보존회장이 하모니카에 맞춰 고양가와지볍씨아리랑을 부릅니다. 송포호미걸이보존회원들이 경기민요 노래가락 태평가를 부르며 십이지신불한당놀이 정기발표회가 대미를 장식합니다.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786.jpg)
이 행사는 제17회 대한민국막걸리브랜드한마당이 열리는 정발산역 인근의 일산문화공연에서 열렸습니다.
우리술 막걸리는 가장 한국적인 술이지요. 젊은이들에게 우리 술 막걸리 맛을 계속 즐겨 나가라는 의미에서 시작한 축제가 벌써 17회를 맞이했습니다. 막걸리 수요증대로 쌀 소비를 촉진하고 농가소득을 보전해 준다는 경제적 효과도 있지요.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816.jpg)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881.jpg)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900.jpg)
조선팔도의 100여 종 막걸리 브랜드가 한 곳에 모여 그 맛을 겨룹니다.
고양시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5000여 년 전 재배볍씨인 가와지볍씨가 발견된 곳이기에 농업문명의 발상지라 할 수 있답니다. 그래서 대한민국막걸리축제를 이 곳에서 연다는 겁니다.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927.jpg)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943.jpg)
이 좋은 취지와 정체성을 잘 살리려면 좀더 축제성-예술성-교육성-정체성-대동성-관광성을 불어 넣도록 축제전문가 손길이 필요해 보이네요^^
![](/upfile/img/2019/11/festa56_157330896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