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0845.jpg)
금산칠백의총에 잠시 들렀다.
올핸 봄이 일찍 찾아와서 그런지 4월 말인데도 늦은 봄이 된 듯한 느낌이다.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조헌 선생과 승장 영규대사가 이끄는 칠백 의사가 금산을 점거하고 있던 왜적 15,000명과 세 차례의 전투를 벌였다. (1592년 8월 18일)
칠백의총은 이 전투에서 전원이 순절한 시신을 한 무덤에 모시고 있는 성스러운 곳으로 민족의 빛나는 호국(護國)정신의 성역이며 거룩한 제단이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196.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521.jpg)
팔뚝만한 잉어들이 뛰어노는 입구의 공원은 평온하고 깨끗하다. 아주 아름다운 동식물의 조화로움을 오감으로 느끼며 잉어밥을 한 웅큼 사서 던지니 총천연색 잉어들이 몰려든다. 500원 썼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537.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570.jpg)
비문에는 전투의 역사가 기록되었다. 중봉 조헌선생이 지휘하는 칠백의사가 청주성을 수복하고 금산싸움에서 순국하기까지의 사적이다. 일제강점기에 금산경찰서장에 의해 폭파되었던 것을 주민들이 일제의 눈을 피하여 땅속에 묻어두었다가 8·15 광복 이후 파내어 보관하여 오던 중 1971년 경역 확장시 그 파손된 비를 붙여서 비각을 세우고 보존하여 왔다고 한다. (문화재청 칠백의총 관리소의 말)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586.jpg)
종용사(從容祀)
왜군들과 싸우다가 순절하신 선열들의 영혼을 모신 21위(位)의 위패가 안치 되어 있는데.. 찾는 이가 별로 없어서 안타깝기만 하다.
금산싸움에서 왜군들에게 강한 저항을 한 덕에 호남지방을 지킬 수 있었다고 한다.
종용사는 1647년 당시 호서, 호남지방의 유림에 의하여 건립되었다고 한다. 1940년 일제의 항일 유적 말살정책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1952년 복원되었고, 1971년 재건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608.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622.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655.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671.jpg)
약소했던 우리민족의 슬픈 역사를 알고 조상들의 나라지킴 정신을 올바로 계승하기 위해 자녀들을 데리고 이런 데 꼭 방문해야 하지 않을까 싶디.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686.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716.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866.jpg)
정문을 나와 마주 보이는 언덕에 계단을 따라 몇 발짝 올라가 보면 탑이 있는데..
13.8m의 탑이다. 탑신 전면에는 『칠백의사순의탑』이라 새겨져 있다. 탑신 하부는 화강암에 용이 새겨져 있고, 탑신 상부에는 동(銅)으로 만든 창과 방패가 장식되어 있다. 경건함을 느끼고 내려왔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4/04/tjwls55_1398061885.jpg)
한 때는 위성통신 본거지이기도 했던 금산이다. 1970년 6월 2일 <금산위성통신지구국>이라는 이름으로 통신위성과 교신하던 이 시설이 지금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추억의 1970, 응답하라 1970.. 세월의 덧없음도 느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