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772.jpg)
단풍이 절정인 10월의 마지막 주말을 남산길 걷기로 함께 했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3873.jpg)
원래는 <광희문에서 남대문까지> 남산성곽길을 따라가려 했습니다.
광희문-장충체육관-우수조망소-자유센터-국립극장-남소문터-소나무탐방로-N서울타워-팔각정-남산봉수대-조선신궁터-안중근의사-백범광장-숭례문 ..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826.jpg)
3호선 동국대역의 6번 출구로 나와 곧장 N타워 방향으로 향하는 길도 아름답습니다.
신라호텔과 동국대학교 사이의 장충단공원 길이 남산트레킹 코스 중에 한 경관합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841.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860.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879.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891.jpg)
활터 석호정은 조선조 인조임금때인 1630년경 세워진 유서깊은 국궁도장(國弓道場)입니다.
1970년 서울정도 600년 남산 제모습찾기 100인 고증위원회 배려로 현 위치에 새터를 닦은 겁니다.
남산공원에서 청소년활쏘기체험교실이 운영되고 있다는군요.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907.jpg)
습사무언(習射無言)이라고 씌어 있습니다.
활쏘기 연습을 할 때는 말을 하지말라는 얘기 같네요..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922.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936.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2959.jpg)
성곽의 모습을 보면서 N타워쪽으로 오르다보면 자연스레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의식을 갖게 됩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jssuh_1382833004.jpg)
이시겠지만 사실 남산은 원래 서울의 중심은 아니었답니다. 조선의 개국과 함께 도읍지 한양(漢陽) 안에 있던 남산은 단지 남쪽의 군사적 요충지일 뿐이었지요. 궁궐에서 바라 본 남산은 남녘의 방위선일 뿐이었고 남녁의 산인 남산이라고 불렀답니다. 한양의 안쪽에 자리한 내4산 중 하나여서 성을 쌓은 뒤에 봉수대를 설치하여 통신의 수단과 함께 도성 방어의 기능도 맡았답니다. 그랬던 남산, 즉 남쪽의 작은 산이 21세기에 와서는 당당히 수도 서울의 센터로 등극이 된 겁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6218.jpg)
N타워 안의 자유쉼터공간에서 바라보는 한강 이남의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는 서을의 신도시 기능을 격세지감 느끼며 생각하게 만드는 그림이었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5179.jpg)
남산탑이 남산타워가 되더니 어느 날 영어식이름인 N-Tower로 개명을 하였고 이제는 서울의 상징적인 조형물이 되었습니다. 한국관광의 상징물이 되었습니다.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남산을 목멱대왕(木覓大王)으로 봉하고 매년 제사 지내는 일을 선포하였으니 남산은 조선의 귀한 지역적 가치를 차지했지요.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5606.jpg)
조선 태조가 쌓은 4.5m의 성곽 담장은 남산에서 나온 편마암으로 축성이 된 것이고 훗날 세종 때 쌓은 1.5m의 구조물은 화강암을 사용했답니다. 따라서 남산 성곽 복원할 떄 이 편마암과 화강암을 구하는데 애를 먹었다네요? .
그러나 복원의 한계도 어쩔 수 없었답니다. 도성의 흔적이 발견된 131m는 원형 복원이 가능했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5851.jpg)
흔적자체가 사라진 109m는 도로에 표식을 남길 정도로 마무리 했습니다. 또 남산 봉수대로 이어지는 정상 구간의 한양 성곽은 옛날에 시멘트로 복원할 정도여서 어쩔 수 없었지요.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6009.jpg)
내려오면서 서울의 도심을 바라보는 전망대 포토존(Photo Zone)이 나옵니다. 잠두봉 포토아일랜드가 사진작가들을 반깁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6152.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6110.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6087.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10/thefestival_1382876358.jpg)
남산골 한옥마을의 주말 상설공연이 우리를 반겼습니다. 인생이 축제임을 체득한 하루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