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652.jpg)
전주 동문예술거리페스타 라는 축제가 열렸습니다.
그리고 동문네트워크파티 라는 이름의 문화예술 축제 전문가 네트워킹 파티가 열렸습니다.
동문, 문화예술의 동무를 말하다 !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764.jpg)
2013년 8월 15일 ~ 16일 전주한옥마을 옆의 동문예술거리
예술인들과 축제전문가들이 모였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858.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873.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893.jpg)
전주동문예술거리와 전주한옥마을의 스토리를 통해서 축제의장으로 활용되는 거리와 마을을 체험하는 행사입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905.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921.jpg)
동문예술거리를 알고 그 대안, 개선사항, 연대 및 환경조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토크 또 토크, 한 밤의 시원한 야한(夜寒) TALK가 있었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7993.jpg)
예술이 있는 거리는 예술가들이 많이 있는 거리라기보다 문화가 숨쉬는 거리요, 사람사는 냄새가 나는 거리입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002.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018.jpg)
전주부채문화관에서의 나만의부채 만들기 체험행사에서 동심으로 돌아가 즐거워 하기도 했답니다.
(위, 좌로부터 서미숙 들소리 작가, 임영호 부채문화관장, 문화기획가 김우정 감독, 전선아 패션칼럼니스트)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026.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035.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053.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069.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084.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102.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135.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189.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212.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277.jpg)
서정선 대표, 김우정 감독, 신진식 교수, 이정희 대표, 전선아 주간, 김은규 감독, 김현기 대표, 서미숙 실장, 손재오 감독, 강성국 대표, 박창수 감독, 홍승광 단장, 송대규 대표, 박세상 대표 ..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8/admin_137717829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