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582.jpg)
낭만으로 만나는 막국수와 닭갈비, 춘천의 명물이요 우리 보통사람의 입맛에 너무 잘 맞는 음식축제랍니다.
올해는 특별히 춘천역 앞의 넓은 공간에서 펼쳐지게 되어 여유있는 축제장의 모습이라서 좋았습니다.
캠프페이지는 이제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고 그 첫 번째로 막국수닭갈비축제가 사용하는 것이랍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609.jpg)
막국수 빨리먹기대회가 매일 오후에 열리는데 아주 흥미로운 이벤트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막국수빨리먹기, 그 이름은 촌스럽지만 진행은 아주 매끄러웠고 참가자들의 관심을 알차게 이끌어 냈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645.jpg)
닭갈비시식행사나 100인의 막국수 이벤트도 줄 서는 사람들의 숫자를 보면 알듯이 인기가 좋았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666.jpg)
막국수와 닭갈비를 춘천의 먹거리 브랜드로 확실하게 정착시키는 축제 프로그램입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678.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2067.jpg)
올 해는 처음으로 축제일을 8월말에서 6월말~7월초로 옮겼고, 6일간 하던 축제 일수도 9일로 늘려서 펼쳐집니다.
때이른 폭염 덕에 시원한 막국수와 동치미 국물이 인기를 차지했지만 장마기간이라서 물폭탄을 맞기도 했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2096.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692.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703.jpg)
9일로 늘여 막국수 닭갈비의 판매부스에서 매출이 늘지 모르지만 양보다 질을, 질보다 격을 선호하는 현대 축제인들에게 그렇게 통하지는 않는 것 같았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793.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718.jpg)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743.jpg)
GBN경춘선가요제, 춘천오픈국제태권도대회 K-타이거즈 시범단 공연, 낭만밴드페스티벌, 7080밴드 등이 무대를 장식하지만 조금은 더 격이 높아졌으면하는 바램입니다.
<春1,000人음악회> 이라고 이름 붙여진 콘서트는 참 예쁜 프로그램이었다고 평가되었습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992.jpg)
시민 1,000명이 동시에 악기를 연주하는 이색 콘서트였으니까요.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852.jpg)
춘천이 과거, 현재, 미래를 볼 수 있는 춘천 홍보전시관과 미공개사진전도 신선한 생각을 갖게 했습니다. 춘천사랑은 62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 온 캠프페이지의 개방으로 크게 늘었으니까요.
축제는 축제다워야하는데, 좀 더 축제분위기를 살려서 전통과 흥, 예술과 먹거리, 그리고 춘천의 문화가 살아 숨쉬는 춘천막국수닭갈비축제로 발전해 가길 기대해 봅니다.
![](//www.thefestival.co.kr/upfile/img/2013/07/admin_1373121827.jpg)